helm 사용하기: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관리 도구

서론 helm은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패키징하고 배포하기 위한 도구이다. “Kubernetes를 위한 패키지 관리자"로 불리는 helm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단순화하고, 버전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 관리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준다. 이 글에서는 helm의 개념부터 고급 사용법까지 상세히 다뤄보겠다. 1. helm의 기본 개념 1.1 helm이란? helm은 Kubernetes 생태계에서 “패키지 관리자"로 불리는 도구이다. 리눅스의 apt나 yum, macOS의 Homebrew와 같은 역할을 Kubernetes에서 수행한다. helm을 사용하면 복잡한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정의하고, 설치하고,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1.2 helm의 주요 개념 차트(Chart): Kubernetes 리소스를 설명하는 파일들의 집합이다. 차트는 템플릿화된 YAML 매니페스트 파일, 차트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Chart.yaml 파일, 그리고 기타 설정 파일들로 구성된다. ...

7월 28, 2024 · 5 분 · 973 단어 · In-Jun Hwang

Ubuntu 24.04 LTS 에서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하기

1. 서론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를 자동화하는 강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하지만, 개발 및 테스트 목적으로 단일 노드에서도 구축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Ubuntu 24.04 LTS 환경에서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설치하고 구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아보자. 2. 사전 준비 Ubuntu 24.04 LTS가 설치된 컴퓨터 (최소 2 CPU, 2GB RAM, 20GB 저장공간 권장) root 또는 sudo 권한 인터넷 연결 3. 설치 과정 3.1 시스템 업데이트 및 필수 패키지 설치 먼저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필요한 기본 패키지들을 설치하자. ...

7월 27, 2024 · 3 분 · 629 단어 · In-Jun Hwang

Git stash 사용하기: 임시로 변경 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서론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으로, 프로젝트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협업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Git을 사용하다 보면, 작업 중에 다른 브랜치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변경 사항을 커밋하지 않고 브랜치를 전환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 1 2 3 4 error: Y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checkout: file.txt Please commit your changes or stash them before you switch branches. Aborting 해석을 해보면, file.txt 파일에 변경 사항이 있어서 브랜치를 전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커밋을 하거나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Git stash를 사용하여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고, 다른 브랜치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

7월 26, 2024 · 3 분 · 469 단어 · In-Jun Hwang

Git 브랜치 네이밍: 협업을 위한

서론 Git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의 필수적인 버전 관리 도구이다. 효과적인 Git 사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브랜치 관리가 중요하며, 그중에서도 일관된 브랜치 네이밍 규칙을 따르는 것이 핵심이다. 본 포스트에서는 Git 브랜치 네이밍의 기본 규칙과 모범 사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기본 네이밍 규칙 다음은 기본적인 브랜치 네이밍 규칙이다: 소문자 사용: 브랜치 이름은 항상 소문자로 작성한다. 하이픈(-) 사용: 단어 사이는 하이픈으로 구분한다. 간결성: 브랜치 이름은 간결하면서도 의미를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 영문 사용: 가능한 영어로 작성하여 국제적인 협업에 대비한다. 예시: feature-user-authentication ...

7월 23, 2024 · 2 분 · 287 단어 · In-Jun Hwang

REST API: 원칙부터 고려 사항까지

서론 현대 웹 개발에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잘 설계된 REST API는 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개발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한다. 이 글에서는 REST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 6가지 핵심 원칙, 그리고 실제 API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규칙과 모범 사례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겠다. REST의 기본 개념 REST는 2000년 로이 필딩(Roy Fielding)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소개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해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

7월 20, 2024 · 4 분 · 661 단어 · In-Jun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