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클래스 A, B, C, D, E 한번에 알아보기

IP 주소의 기본 구조 IP 주소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네트워크 부분’과 해당 네트워크 안의 개별 장치를 구분하는 ‘호스트 부분’이다. 예를 들어 회사 건물의 주소 체계와 비슷하다.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가 네트워크 부분이라면, ‘123번길 3층 301호’는 호스트 부분이다. 네트워크 부분이 같으면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것이다. 192.168.1.100 이라는 IP 주소가 있을 때: 앞부분(192.168.1)은 네트워크를 식별한다 뒷부분(100)은 그 네트워크 안의 특정 장치를 가리킨다 네트워크 클래스의 구분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의 길이가 다르다. 이것을 클래스로 구분한다: ...

2월 20, 2025 · 2 분 · 311 단어 · In-Jun Hwang

tar 명령어 사용법 빠르게 알아보기

tar는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축/압축해제 도구다. tar라는 이름은 ‘Tape Archive’의 약자로, 원래는 테이프 백업용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현재는 파일을 묶고 압축하는 가장 일반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필수 알아야 할 기본 옵션 tar 명령어는 크게 동작 지정 옵션과 동작 수정 옵션으로 나뉜다. 모든 tar 명령어는 이 두 종류의 옵션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동작 지정 옵션 c : 새로운 아카이브(파일) 생성 x : 아카이브 풀기 t : 아카이브 내용 확인 r : 아카이브에 파일 추가 u : 아카이브의 파일 업데이트 동작 수정 옵션 f : 파일 이름 지정 (거의 항상 사용) v : 처리 과정 출력 z : gzip 압축 사용 (.tar.gz) j : bzip2 압축 사용 (.tar.bz2) J : xz 압축 사용 (.tar.xz)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옵션들 압축하기 1 2 3 4 5 6 7 8 # 기본 tar 파일 만들기 tar cf archive.tar files/ # gzip으로 압축하기 (가장 많이 사용) tar czf archive.tar.gz files/ # bzip2로 압축하기 (더 높은 압축률) tar cjf archive.tar.bz2 files/ 압축 풀기 1 2 3 4 5 6 7 8 # tar 파일 풀기 tar xf archive.tar # gzip 압축 풀기 tar xzf archive.tar.gz # bzip2 압축 풀기 tar xjf archive.tar.bz2 파일 확인 1 2 3 4 5 # tar 파일 내용 보기 tar tf archive.tar # 자세히 보기 tar tvf archive.tar 알면 정말 유용한 옵션들 경로 관련 -C : 다른 디렉토리에서 실행 -P : 절대 경로 유지 –strip-components=N : 압축 풀 때 상위 N개 디렉토리 제거 파일 선택 –exclude : 특정 파일/디렉토리 제외 –exclude-from : 제외할 파일 목록을 파일에서 읽기 –wildcards : 와일드카드 패턴 사용 속성 보존 -p : 파일 권한 유지 –same-owner : 소유자 정보 유지 –numeric-owner : UID/GID 보존 마치며 tar는 파일 압축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시스템 백업에서는 파일의 권한과 소유자 정보를 그대로 보존해야 하므로 -p 옵션이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배포 시에는 압축률이 높은 xz 압축을 주로 사용한다. ...

2월 18, 2025 · 2 분 · 315 단어 · In-Jun Hwang

RAID 시스템 완벽정리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는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이다.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이거나 디스크 접근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현대 서버 시스템에서는 거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자리잡았다. RAID의 기본 원리 RAID는 크게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로 나뉜다. 하드웨어 RAID는 전용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운영체제는 RAID 구성을 하나의 디스크로 인식하며, RAID 컨트롤러가 모든 작업을 처리한다. 안정성이 높고 성능이 좋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소프트웨어 RAID는 운영체제가 직접 RAID를 구현한다. 리눅스는 md(multiple devices) 드라이버를 통해 이를 지원한다.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구성할 수 있지만, CPU 자원을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

2월 18, 2025 · 3 분 · 470 단어 · In-Jun Hwang

chown으로 파일 소유권 관리하기

사용자와 그룹의 이해 사용자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독립된 주체다. 모든 사용자에게는 고유한 UID(User ID)가 할당되는데, 특히 UID 0은 root 사용자를 의미하며 일반 사용자는 1000번 이상의 UID를 받는다. 각 사용자는 개인 파일과 설정을 저장할 수 있는 홈 디렉토리를 가지며, 기본 셸과 환경 변수, 접근 권한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그룹은 여러 사용자를 하나로 묶어 관리하는 단위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그룹 단위로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여러 그룹에 동시에 속할 수 있는데, 계정 생성 시 지정되는 기본 그룹(primary group)과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보조 그룹(supplementary groups)으로 나뉜다. 그룹 역시 사용자처럼 고유한 GID(Group ID)를 가진다. ...

2월 18, 2025 · 2 분 · 417 단어 · In-Jun Hwang

리눅스 chmod 완벽 이해하기

리눅스 권한 체계의 이해 리눅스는 유닉스의 전통을 이어받아 강력한 파일 권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소유자, 그룹, 그리고 그 외 사용자에 대한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각각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권한 체계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보안과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기본 권한의 구성 리눅스의 권한은 세 가지 기본 요소로 구성된다. 읽기(r), 쓰기(w), 실행(x)이다. 이 권한들은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파일 목록을 볼 때 보이는 -rwxr-xr– 와 같은 표기는 이러한 권한의 조합을 나타낸다. ...

2월 17, 2025 · 3 분 · 451 단어 · In-Jun Hwang